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자 초년병의 세상보기/증시120

[마감시황] 인플레 정점 논란에 증시는갈 곳 몰라 (0414) 코스피 0.01%↑ 2716.71, 코스닥 0.08%↑ 928.01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시장은 반응을 하지 않는다. 시장은 방향을 정하지 못하고 오르락 내리락하고 매매주체들도 샀다 팔며 입장을 정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발 인플레 정점 논란이 투자자를 당혹스럽게 하고 있다. 쉽게 이해하게 되는 내용은 아니지만 투자자별 매매는 외국인의 팔자와 개미의 사자가 맞선 가운데 기관은 코스피에서 순매수를 코스닥에서는 순매도로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외국인의 매도세는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코스피는 기술적으로 5일이동평균이 상승으로 돌아선 가운데 어제와 마찬가지로 20일선과 60일선 그리고 종가가 부딪힌 모습이다. 옵션만기일도 지나갔으니 어떤 움직임을 보일지 인플레 피크 아웃인가? 미국 3월 소비자물.. 2022. 4. 14.
[한눈에 미국증시] 연일 롤러코스트 장세 앞으로 방향은(0413) 다우 1.01%↑… 나스닥 2.03%↑… S&P 500 1.12%↑ 미국 증시는 인플레 정점 기대감에 매수세 유입되며 반등에 성공했다. 투자자들은 연준이 경제를 연착륙시킬 것으로 믿으며 어닝 시즌에 기대를 거는 것인가? 하루 하루 왔다 갔다 하는 투자심리의 추는 결국 어디로 향할 것인가. 아무튼 시장은 현 주가를 낮다고 보고 오르려 한다. 왠지 모르게 지난 3월 중순 이후 눈에 띄게 주가를 띄우려는 힘이 강하게 움직이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기술적으로는 나스닥은 전날 하락봉을 상승 제압하며 5일이동평균을 넘어서고 있는 모습이지만 20일 60일 선이 혼조를 보이고 있어 큰 흐름을 판단하는 데는 유효성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미 3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동기대비 11.2% 이상 올랐다. 10% 넘는 .. 2022. 4. 14.
[마감시황] 미국 하락에도 기관매수로 상승 시동(?)(0413) 코스피 1.86%↑ 2716.49, 코스닥 0.73%↑ 934.73 미국 3월 소비자물가자수가 40년만의 최고치를 기록하고 미국 3대 지수 하락했지만 코스피는 기관 순매수로 2% 가까운 지수 상승을 이끌어내며 단번에 2700선을 훌쩍 넘어섰다. 코스닥도 기관 사자에 외국인도 힘을 더하며 큰 폭으로 상승하며 930선에 다가섰다다 코스피의 경우 기관이 시장을 선도하는 모습이다. 3월 중순 이후 주식형 펀드 자금이 3조 넘게 유입이 이루어자고 있다. 기술적으로는 장대양선을 보이며 5일이동평균선을 넘어 20일과 60일선에 바짝 다가섰다 나스닥 선물 상승세도 영향을 받았지만 기관 매수는 그 이상으로 힘이 넘쳤다.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빅스텝가능성 커지면서 외국인들은 매도우위를 보였으나 기관의 매수에 주.. 2022. 4. 13.
[한눈에 미국증시] CPI 해석 롤러코스트 타다 결국은 하락(0412) 다우 0.26%↓… 나스닥 0.30%↓… S&P 500 0.34%↓ 미국 증시는 미국의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에 결국 하락 마감했다. 장 시작 전부터 소비자물가지수가 정점에 이르렀다는 분석으로 반등하던 주가는 장이 시작하면서 나스닥의 경우 한때 2% 넘게 폭등장을 연출하기도 했다. 나스닥은 기술적으로 장중 반등을 시도했으나 일단 3일선에 부딪혀 내려오는 모습이다. 생각건대 아직도 연준의 긴축이 시장의 중심에 있다 오늘의 인지적 관심은 소비자물가지수 해석으로 인한 롤러코스트다. 비유로 시작해 본다. 집에 불이 나서 목숨난 부지하고 나와 있는 상황. 불은 점점 커져서 불안은 커져가고 당국은 불을 끄기 위한 조처를 강구하고 있는데 불길을 보니 끝없이 솟아오르는데 누구인가 소리친다. 한쪽 불길이 조금.. 2022. 4. 13.
[마감시황] 미국 물가 발표 앞두고 관망(0412) 코스피 0.98%↓ 2666.76, 코스닥 0.87%↓ 913.82 12일 미국 3월 소비자물가자수 발표를 앞둔 가운데 미국 3대지수 하락 영향으로 코스피 코스닥 모두 하락했다. 기관과 외국인이 팔자에 나선 가운데 코스피는 0.98% 하락 마감했고 코스닥도 0.87% 떨어지며 910선으로 후퇴했다. 장 시작후 하락 폭을 넓히다 반등하며 낙폭을 줄였다. 투자자들은 소비자물가지수 발표와 미국시장 반응을 보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나스닥 선물도 하락폭을 줄인 상황 코스피 이동평균선은 다시 하락형태의 정배열을 보이며 하락하는 중이다. 지난 1월28일 저점 2600선을 바라보며 지지 여부를 시험할 듯하다. 중국 당국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로 하락하는 주식시장의 안정을 기하기 위해 장기 투자자와 상장.. 2022. 4. 12.
[한눈에 미국증시] 인플레이션 (0411) 다우 1.19%↓… 나스닥 2.18%↓… S&P 500 1.69%↓ 미 3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를 앞두고 인플레이션에 대한 경계심으로 미국 증시는 큰 폭으로 주저 앉았다. 이에 중국의 코로나로 인한 셧다운 공포도 하락에 힘을 더했다. 나스닥은 지난 3월29일 고점 14,646.90에서 8% 넘게 하락한 13411.96으로 3월14일 저점 12,5555.35보다는 7% 높은 지점에 있다. 이번 조정으로 다시 한번 지난 저점의 지지 여부를 실험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은 12일 발표 예정인 미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을 1981년 12월 이후 최대폭인 8.4%를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의 벤치마크 시장금리인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10년물 미국 국채 금리가.. 2022. 4.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