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학갓의 이야기/수학적경험의 세상보기2

1월 코스피와 나스닥 상관계수 계산…꼭 이런 계산이 필요한가? 한미 주식시장 디커플링 알아보니 1월 나스닥과 코스피의 상관계수를 산출해 보면 0.95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저번 글에서 위와 같이 말했다. 상관계수라 하면 꽤나 전문적인 통계라 생각한다. 그리고 하여튼 전문가가 그러면 그런 줄 안다. 우리는 항상 이러한 이야기에 주눅이 들고 맹종하게 마련이다. 상관계수라고 찾아보면 두 변량 X, Y 사이의 상관관계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라고 나온다. 말이 어렵다. 수학은 어렵다. 말이 어렵다. 그러나 쉽게 말하면 둘 사이의 관계의 정도라는 것이다. 나스닥과 코스피 지수를 비교해 나스닥 지수가 높아지면 코스피 지수도 높아지고 나스닥 지수가 낮아지면 코스피지수도 낮아 진다면 커플링 관계고 나스닥지수가 높아지는데 코스피는 낮아지고 나스닥은 낮아지는데 코스.. 2022. 2. 17.
[수학적경험] '가계소득 8% ↑ 역대 최다폭 증가' 기사를 바라보며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전국 1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472만9천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8.0% 증가했다. 통계청은 가계 소득이 1인 가구를 포함해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 1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고 말했다. 다만 물가 변동의 영향을 제거한 실질 소득 증가율은 5.3%로 집계됐다.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3분기 고용 상황 호조와 서비스업 업황 개선 등에 따라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동시에 증가했으며, 지난 9월 국민지원금 지급 등으로 이전소득도 증가하며 총소득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인터넷에서 관련 기사 댓글에는 가구 평균 472만원이라는 사실에 대해 이해할 수 없다는 내용이 다수 있었다. 한 댓글은 자신이 중간 정도는 산.. 2021. 11.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