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청년희망적금5

알바한 금수저도 받는데… 청년희망적금 관련 기사를 바라보며 알바한 금수저도 받는데 기사 내용 이러하다. 연소득 3600만원이 조금 넘는 흙수저 근로자는 못 받는데 알바한 금수저는 혜택을 받았다니 이것이 정의로운가 하는 내용이다. 기사의 내용을 살펴보자. 월급 270여만원 중소기업 재직 중인 3년차 직원 김모(31)씨는 연 이율 10% 수준의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하려 했지만 좌절했다. 소득이 정부가 만든 적정 기준 연 3600만원을 넘어서기 때문이다. 김씨는 “먹고 살기 편하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는데 청년 혜택 대상에서 제외된다 하니 억울하다”고 말했다고 한다. 반면 서울 강남 부모님 집에서 살고 있는 이모(25)씨는 부모님 소유 집 시세만 30억원에 육박하는 등 ‘금수저’지만 해당 상품에 가입이 가능하다. 가입자격에 별도의 자산 상한선이 없기 때문이다. 오는 .. 2022. 2. 17.
KB국민‧우리은행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 서비스 이벤트 KB국민은행, 우리은행도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 이벤트를 한다.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는 청년희망적금 출시 전 사전자격조회를 통해 상품 가입 가능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다. KB국민은행은 추첨형 이벤트 이번 이벤트는 지난 9일부터 오는 18일까지 진행된다.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 신청은 영업일 기준 오전 10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신청가능하다. 참여방법은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를 신청, 신청 후 3영업일 내 가입가능여부 문자 수신, 2월 21일부터 3월 31일까지 KB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하면 참여가능하다. 추첨을 통해 ▲삼성 갤럭시북 PRO 512G 10명 ▲LG전자 스탠바이미 10명 ▲루이비통 카드지갑(60~70만원 상당) 10명 ▲애플 워치 7 GPS 41mm 10명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게 핵심인데 추첨경.. 2022. 2. 17.
2022청년희망적금 그래서 어디은행이 개꿀인가!!(feat. 우대금리) 오늘 청년희망적금 출시 은행들의 금리가 확정됐다. 11개 은행들은 기본 연 5% 금리에 연 0.2%p~1%p의 우대금리를 책정했다. 이에 따라 어떤 은행에 가입을 해도 50만원 2년만기로 가입하면 최소 연 9% 수준의 적금 가입 효과를 누릴수 있다. 굳이 혜택 받으려고 새로 계좌를 팔 필요는 없어보인다. 자기가 가지고 있는 은행 아무대서나 적금을 들면 될 듯하다. 2022청년희망적금에 대해 요약된 표이다. 자세한 사항을 보고 싶으면 (2022청년희망적금이란 무엇인가)를 클릭해라. 아무튼 0.1%의 이율이라도 더 받고 싶은 사람을 위해서 각 은행 우대금리에 대해 설명해본다. KB국민은행의 우대금리는 최대 연 1%p다. 월 50만원 이상 급여 이체를 6개월 이상 국민은행 통장으로 할 경우 0.5%p, 국민은.. 2022. 2. 9.
2022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 2022 청년희망적금은 이달 21일부터 11개 시중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으며 가입 가능 여부는 오늘부터 18일까지 11개 시중은행 앱에서 제공되는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 서비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영업일(주말 제외) 오전 10시~ 오후 10시 중 운영) 가입 가능 여부는 참여일로부터 2~3영업일 이내에 문자로 안내받을 수 있다. 11개 시중은행은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IBK기업은행, 부산은행, 대구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이다. 2월 28일에는 경남은행, 6월중에는 SC제일은행도 추가될 예정이다. 가입 희망자는 취급 대상인 11개 은행 중 한 곳을 선택해 1계좌만 개설할 수 있으며 대면 또는 비대면으로 가입할 수 있다. 또한 미리보기 서비스를 이.. 2022. 2. 9.
2022 청년희망적금이란 무엇인가.(금리, 신청방법, 신청대상, 은행) 2022 청년희망적금은 월 5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적금 상품이다. 만기까지 납입하는 경우 시중이자에 추가로 납입액의 2~4%를 저축장려금으로 지원한다. 1년 만기 시 2%, 2년 만기 시 4%의 저축장려금이 지급된다. 매달 50만원씩 2년간 납입할 경우 36만원의 저축장려금이 지원된다. 또한 청년희망적금 이자는 비과세를 적용받을 수 있다. 신청 대상은 연소득 3600만원이하, 종합소득 2600만원이하인 만 19세부터 34세의 청년이다. 단, 군필자의 경우에는 복무 기간(최대 6년) 만큼 나이 조건을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년간 병역이행을 했다면 만 36세까지 가능하다. 소득의 경우 국세청을 통한 소득금액 증명이 불가능하다면 가입할 수 없다. 또 직전 과세기간 소득이 올해 7.. 2022. 2.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