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살고 나도사는 우리 동네 배달앱' 상생의 슬로건을 내 건 신한은행 ‘땡겨요’가 가맹점엔 낮은 수수료와 빠른 정산을, 고객에겐 10% 적립과 할인을 제공을 앞세워 배달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베타 서비스 오픈한 배달앱 ‘땡겨요’를 시스템 안정화와 고도화를 진행해 공식 론칭한다고 14일 밝혔다.
땡겨요는 공식 론칭과 함께 지역사랑 상품권 결제가 가능한 점과 상생으로 프로토콜 경제를 구현하는 유연한 배달 플랫폼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광진구의 ‘광진형 공공 배달앱’으로 선정됐다고 홍보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땡겨요'를 지역사회의 성공적인 협력 모델로 만들기 위해 광진구와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15% 할인이 적용되는 ‘광진구 전용 상품권’ 발행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일단은 신한은행과 광진구는 상생하는데 성공한 듯 싶다. 더 지나보아야 하겠지만 말이다. 또한 신한은행은 '땡겨요' 공식 론칭을 기념해 김선갑 광진구청장과 고객, 소상공인, 라이더 커뮤니티의 대표와 함께 광진구를 포함한 6개 배달 지역의 보육원과 노인복지시설에 배달음식을 기부하는 행사를 진행했다고 하며
특히 이번 기부행사는 라이더들이 무료 배달에 자발적으로 참여했다고도 하는데...
배달 앱은 개별적으로 발생하여 상호 연계가 쉽지 않은 배달이라는 서비스를 플랫폼으로 묶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했다는 것이 배달 앱의 핵심이며 본질이다. 이동통신의 발달이 이러한 플랫폼의 탄생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상생이란 음양오행설에서, 금(金)은 수(水)와, 수는 목(木)과, 목은 화(火)와, 화는 토(土)와, 토는 금과 조화를 이룸을 이르는 말이다. 둘이상이 서로 북돋우며 다 같이 잘 살아간다는 것이다.
상생을 위해서는 가치가 창출되어야 한다. 사회적 가치가 새로이 창출되어야 서로 북돋아 줄 것이 생긴다. 현재 배달시장은 치열한 경쟁 국면에 있다. 이러한 경쟁 속에서 상생이 가능할까? 상생이 일방이 가진 것을 일방적으로 베푸는 것이라면 그것은 상생이 아니라 원조인 것이다.
배달 플랫폼의 핵심인 배달 라이더와는 어떻게 상생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답이 나와야 가능한 것이다. 누구는 1건 배달에 만원의 인센티브를 내걸었던 적도 있었는데....
'기자 초년병의 세상보기 > 이런 저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갓] 18~19일은 LG에너지솔루션 공모주 청약이요 (5) | 2022.01.17 |
---|---|
토스증권, 어플 무엇이 바뀌었나! (1) | 2022.01.16 |
AI 영상 인간이 학갓에게 다가왔다. (3) | 2022.01.13 |
[학갓] 기자초년병의 5대 금융 영업실적 분석 이야기 (2) | 2022.01.12 |
[학갓] 기자 초년병의 하루 2022.1.12.(수) (0) | 2022.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