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금리인상2

한미 주식시장 디커플링 알아보니 미국 증시의 변화가 한국증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우리는 당연하게 여긴다. 많은 개인 투자자들이나 전문가들도 그렇게 생각한다. 미국 증시가 올랐으니 한국 증시도 오를 것이라고 또 반대도 마찬가지다. 지난 10일에는 전날 미국증시에서 나스닥이 2.08% 상승한데 비해 코스피 지수는 0.11% 소폭 상승에 그쳤으며 코스닥 지수는 오히려 1.63% 하락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오를 때는 미국만 오르고 내릴 때는 같이 내린다는 느낌을 많이 받게 된다. 그리고 이것이 탈동조화 디커플링이 아닌가 하는 의문을 갖게 된다. 동조화의 의미를 네이버의 시사상식사전에서 살펴보면 한 국가의 경제 현황이 다른 국가의 경제 현황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가리키는 경제 용어다고 나와 있다. 한 국가의 주가나 환율, 금리 등.. 2022. 2. 11.
[학갓]기준금리 인상, 대출은 선반영, 예‧적금은 후반영 한국은행이 25일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함에 따라 4대 시중은행인 KB‧신한‧하나‧우리은행이 예‧적금 금리에 인상에 나섰다. 반면에 대출금리는 시장 상황에 따라 이미 선반영 되어 있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기준금리 인상 이후 예‧적금 금리 인상 반영까지 1~2주 정도 소요됐던 것과 비교하면 빠른 편이다. 이런 발빠른 움직임에 대하여 은행측은 예‧적금 수요자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자 빠르게 수신금리를 인상했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실상은 예대금리 차이 확대에 따른 고객 불만과 이번 3분기 역대 최고 실적에 따른 여론악화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금융당국의 금리산정체계 점검 등도 고려됐다. 시중은행들은 모두 최대 0.4%p까지 예‧적금 금리를 올렸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상품은 기준금리 인상분인.. 2021. 11. 27.
반응형